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월 미국 기준금리 0.5%P 인상 강력 시사

by 콩북1 2023. 3. 9.
반응형

3월 기준금리 0.5%P 인상 강력 시사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 의장은 지난달 1일 물가 상승세 둔화를 뜻하는 디스인플레이션이란 단어를 처음 꺼냈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 과정이 시작됐다는 그의 발언은 고공행진하던 물가가 정점을 찍었다는 의미로 해석됐습니다. 그러나 불과 5주 만에 그는 정반대 메시지로 시장에 전달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2%로 되돌리는 길은 멀고 험난 할 것이라며 최종 기준금리가 기존 전망보다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일각에선 최종금리가 연 6%를 넘길 것이란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은 7일 미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준비된 원고를 읽어 내려갔습니다. 그는 작심한 듯 매파(통화긴축 선호)발언을 쏟아냈습니다.

 

파월 의장은 우선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 때 예상했던 것보다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 1월 고용과 소비, 제조업 생산, 인플레이션 지표는 물가 완화 추세가 뒤집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을 언급한 이후 발표된 1월 물가, 고용 등의 지표가 예상과는 다르게 여전히 강했다는 뜻입니다.

 

파월 의장은 특히 인건비 상승압력이 크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임금상승률이 다소 둔화하기는 했지만 2%대 물가 상승률에 맞추기엔 여전히 너무나 강력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주택비 등에선 일부 둔화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주택과 식료품,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서비스물가에선 디스인플레이션 징후가 거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 이후 미국 최종금리가 연 5%를 훌쩍 넘길 것이란 전망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달 21~22일 FOMC 정례회를 앞두고 발표되는 경제 지표들은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10일 미 노동부의 고용보고서가 나오고, 14일에는 2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발표됩니다.

 

노동시장과 물가가 어느 정도 진정된 모습을 보이면 Fed가 긴축 강도를 높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처럼 계속되는 상황 변화 속에 투자자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은 위기 속에 기회를 잡는다는 마음으로 떨어질 때마다 수량을 모으는 전략으로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