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필립 피셔의 최고의 투자 <책> 주식과 인플레이션에 대해

by 콩북1 2023. 3. 8.
반응형

 

주식과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진짜 원인을 이해하는 투자자는 일부 정치인들의 말에 혼란스러워져 중심을 잃는 사례는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투자자라는 관점에서의 인플레이션은 똑같은 돈으로 취득할 수 있는 재화 그리고 서비스의 총량이 줄어어 드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정확히 매년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었는지를 완벽하게 단정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인플레이션에 측정에 필요한 다양한 지수들의 오차가 얼마나 되는지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미국 노동통계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체 물가를 대단히 신중하고 세심하게 종합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현재 나와 있는 인플레이션 측정 수단들 중에서 CPI가 그나마 가장 정확하고 합리적이라 평할 수 있습니다. 1950년 1월 1일부터 1959년 12월 31일까지 10년간의 CPI에 따르면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2퍼센트 남짓입니다. 가능성은 낮지만 측정 방식에 50퍼센트 오차가 있더라도 3퍼센트에 불과합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를 할 때는 인플레이션을 중요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바꿔 말하면 10년마다 스스로의 힘으로 가치를 20~30퍼센트씩 올릴 만한 능력이 없는 종목은 투자처로 고려할 이유가 없습니다.

금리인상 살펴보기

우리는 금리인상이 실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금리와 관련된 문제는 적절한 투자 타이밍을 모색하는 투자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첫 째, 중앙은행 당국이 하는 말을 살펴봐야 합니다. 중앙은행장들은 힘을 가지고 있기에 그들은 은행 여신 공급을 통제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말 한마디에 금리에도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말에 따르면 임금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임금인상은 사업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소비자 판매가도 올립니다. 원자재나 완제품, 서비스 가격의 인상 역시 당연히 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이런 제 비용의 증가는 당연히 해당 제품, 서비스의 비용을 높일 뿐 아니라 그것을 구입해서 쓰는 다른 회사의 비용은 물론 기타 제품의 가격도 으르게 합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고금리 정책이나 이른바 금융긴축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물가상승

물가가 갑자기 급격히 오르기 시작하고 통화관리자들이 금리인상을 부추기는 듯 보인다면 이야기는 다소 달라집니다. 즉, 투자자는 훨씬 더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움직여야 합니다. 경기는 당연히 하강할 테고,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채권수익률이라는 요소로 인해 채권가격이 오르고 주가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채권 가격과 주가는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상호보완의 관계입니다. 경기가 나빠지면 안전 자산인 채권으로 투자가 몰리고 채권 가격이 상승하면 반대로 주가는 내려가고, 경기 상승 시에는 주식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채권가격은 내려갑니다. 또한 채권과 가격과 시중금리도 정 반대로 움직입니다.>

 

그렇다 해서 경기 하강시 모든 주식투자를 다 삼가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금리로 인한 단기적 영향 때문에 진정으로 훌륭한 투자기회를 무시하고 넘어가서는 안되기 때문입니다.> 

매수를 고를 땐 훨씬 신중해져야 합니다. 하지만 금융긴축이 한 동안 이어진다면 전체 그림이 달라집니다. 날뛰는 물가를 잡기 위해 고금리라는 돈줄 옥죄기 정책을 행하는 중앙은행의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투자자는 개인으로써 정책이 언제 어떻게 변할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정책이 오래 이어지고 정부가 적자가 눈덩이처럼 쌓일 수록 자본재와 건설 산업이 고통이 심해질수록 급격히 선회하는 정책이 나오고 또 한 차례 인플레이션 광풍이 불어닥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때문에 개인은 투자하려는 주식이 장기 보유에 적합한 종목인지를 더더욱 신중하게 분석해야 합니다.

 

이 책을 읽게 된다면 앞으로 내가 투자하는 종목에 더 확신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나만의 투자 철학이 생길 것이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