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혜택 알아봐요
청년이 5년간 매월 70만 원씩 적금하면 정부 지원금 등을 더해 최대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6월 출시된다. 금리나 세금 등 측면에서 시중은행 적금 상품에 비해 혜택이 적지 않다. 월 70만 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5년 만기 상품인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만 가입할 수 있다.
최대 6년의 병역 이행기간은 연령계산에 포함하지 않아 군필자라면 35세라도 가입할 수 있다. 나이뿐 아니라 소득 조건도 붙는다. 개인소득 기준(총 급여 7500만 원 이하)과 가구소득 기준(중위 180% 이하)을 충족해야 한다.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웅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했다면 가입이 제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 자산 형성 지원을 목적으로 한 정부 역점사업이다. 정부는 가입자에게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준다. 기여금이란 말 그대로 정부가 매달 일정 금액을 같이 적립해 주겠다는 말이다. 개인소득과 납입액 수준에 따라 정부 기여금 규모가 달라진다.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저소득층은 월 40만 원 한도애서 6%의 기여금을 매칭받을 수 있다. 40만 원씩 꼬박꼬박 저금하면, 정부가 매월 최대 2만 4000원을 보조해 준다는 말이다.
개인소득
2400만 ~ 3600만 원이라면 기여금 매칭비율이 4.6% (월 기여금 한도 2만 3000원)로 내려간다.
3600만 ~ 4800만 원 구간은 3.7%(2만 2000원), 4800만~6000만 원 구간은 3%(2만 1000원)로 떨어진다.
총 급여 6000만 ~ 7500만 원 가입자라면 정부 기여금은 한 푼도 못 받지만 그래도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15.4%) 혜택은 적용돼 시중 적금상품보다는 훨씬 유리하다.
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은 별도로 은행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금리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아직 구체적인 금리 수준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저소득층한테는 우대금리를 주는 쪽으로 설계될 전망이라 한다. 가입 후 최소 3년간은 고정금리가 적용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3년 넘게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상품도 출시될 수 있도록 금융권과 협의 중이라 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청년도약계좌를 중도 해지하게 된다면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문재인 정부의 대표 정책이던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바로 갈아타는 것은 불가능하다.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거나 중도해지해야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 납입액을 가지고 가입자한테 긴급한 자금 수요가 생기면 담보대출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각자의 계획에 맞게 종잣돈 모으기에 성공했으면 좋겠다.
댓글